270억 정산금 미지급… 또다시 반복된 이커머스 플랫폼의 그림자
명품 직구 플랫폼으로 빠르게 성장했던 **발란(BALAN)**이 결국 2025년 3월,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습니다.
SNS 광고, 파격 할인, 빠른 배송을 앞세워 MZ세대에게 뜨거운 반응을 얻었던 플랫폼이었지만,
정산 지연과 배송 마비, 고객센터 먹통 등 수많은 신호 끝에 법정관리(회생) 절차를 밟게 된 것입니다.
발란에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?
- 2025년 3월 26일, 발란은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
- 법원은 접수 후 회생인가 여부 검토 예정
- 발란 측은 “구조조정과 회생안 마련 후 정상화하겠다”는 입장
하지만 그 과정에서 수많은 소비자와 입점 판매자가 직접적인 피해를 겪고 있는 중입니다.
미정산 금액만 약 270억 원
미정산 금액 | 약 270억 원 (2025년 3월 기준) |
입점 판매자 수 | 약 1,800곳 |
소비자 피해 사례 | 배송 지연, 환불 지연, CS 불능 |
온라인 커뮤니티와 네이버 카페에는,
“물건을 시켰는데 배송은커녕 문의조차 안 된다”
“수백만 원어치 판매했는데 정산이 3개월째 미지급”
와 같은 피해자들의 실제 사례가 속속 올라오고 있습니다.
회생절차 = 소비자 보호일까?
아쉽게도 ‘법정관리 들어갔으니 다 해결되겠지’라는 기대는 현실과는 거리가 멉니다.
- 회생절차는 회사가 살기 위한 절차이지,
자동으로 소비자 권리가 보호되는 과정이 아닙니다. - 채권자 신고를 하지 못하면 환불이나 정산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.
티몬·티메프, 그리고 발란까지… 반복되는 플랫폼의 위기
이번 사태는 이전 티몬, 티메프의 위기와 많은 점에서 유사합니다.
티몬 | 2023~2024 | 유동성 위기, 정산 지연 | 구조조정, 매각설 지속 |
티메프 | 2021~2022 | 명품 중개 철수, 운영 축소 | 실질적 사업 철수 |
발란 | 2025.03 | 회생 신청, 정산 미지급 | 법원 심사 진행 중 |
'명품 큐레이션'이라는 말은 좋았지만, 결국 자금력 부족과 물류 기반 부실이 반복된 위기의 원인이 됐습니다.
지금 소비자가 해야 할 일
✅ 결제 내역, 주문서, 환불 요청 내역 백업
✅ 향후 채권자 공고·신고 시점 체크
✅ 카드사·결제사에 이의 제기 (일부 환불 가능성 존재)
✅ 피해자 모임·카페 등 정보공유 커뮤니티 가입
✅ 공정거래위원회 및 소비자원 민원 제기
요약
기업명 | 발란 (BALAN) |
이슈 | 기업회생 절차 신청 |
피해 | 정산금 약 270억 미지급 / 소비자 환불 지연 |
유사 사례 | 티몬, 티메프 등 명품 이커머스 붕괴 사례 |
회생 전망 | 구조조정 및 회생안 제출 예정, 결과 미정 |
마무리하며,
소비자는 플랫폼을 믿고 결제했습니다.
입점사는 플랫폼을 믿고 물건을 공급했습니다.
그런데 지금, 남은 건 미지급된 돈과, 수십만 원짜리 ‘무응답 주문서’뿐입니다.
회생절차가 정말 '회생'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요?
이제는 단순한 변명보다 신뢰 회복이 먼저 필요한 시점입니다.
그리고 다시 한 번, 소비자와 소상공인이 그 피해자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.
'똥팡 생활정보 > 사회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“윤석열 탄핵 인용되면? 즉시 파면 → 60일 이내 조기대선 실시된다” (0) | 2025.04.02 |
---|---|
윤석열 탄핵심판 선고일(4월 4일 오전 11시, 생방송) (1) | 2025.04.02 |
ChatGPT 지브리 이미지, 전 세계가 열광했지만… 저작권 논란 불붙다 (0) | 2025.03.30 |
경북 산불 총정리 – 걷잡을 수 없는 피해, 실화 혐의 입건과 현재 상황 (0) | 2025.03.30 |
미얀마 강진 발생 – 2025년 3월 30일 기준 한국인 피해 포함 최신 소식 (0) | 2025.03.30 |